CP1 Day5 : 주제, 데이터 선정, EDA
1인가구의 증가 가족의 대표적인 형태 “1인가구”란 1명이 단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생활단위를 말합니다(「건강가정기본법」 제3조제2호의2). 통계청에 따르면, 2020년 우리나라 1인가구 수는 664만3000가구(31.7%)로 전체 가구 중 가장 많습니다. 2047년에는 우리나라 1인 가구 비중이 37.3%로 높아져 북유럽 국가 수준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 1인가구 사유를 살펴보면 본인의 학업·직장이 가장 많았고, 그다음은 배우자의 사망, 혼자 살고 싶어서 등의 순이며, 연령대별 사유는 40대까지는 본인의 학업·직장, 50~60대는 본인의 이혼, 70세 이상은 배우자의 사망이 가장 큰 사유입니다[「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」, (통계청, 2021), 13쪽 참조). 1인가구 특징 1..
2023. 3. 16.
S4 PJT - DAY 5 - 발표스크립트, 촬영
지난 프로젝트의 주제는 좋았지만 완성도가 낮았고, 발표 퀄리티도 낮아서 아쉬웠다. (피드백도 아직 안 본) 이번 프로젝트도 난이도가 평이했으나 기본기능 완성은 되었으니 포장을 잘 해서 전달과 마무리가 되어야 겠다. 데이터EDA(감정별 다수 토큰, 연령별, 성별 분석) X 정확도 외 Precision, recall, loss 등 다중분류 평가지표 분석 (어떤 감정이 주로 분류가 안될까?) X 발표자료(배경, 가설, 이론설명, 한계점, 개선점) O 발표대본 만들기 X 시간남을시 : 노트의 다른 모델과 비교 X 정말 그냥 어지러울 뿐이다.. 어찌저찌 다른 발표자료와 블로그들을 참고해서 겨우 냈다...하하..참... 씁쓸하다.. 프로젝트 주제 및 동기에 대해 잘 설명해주셨습니다. 특히 인류 발전을 위한 과제와 ..
2023. 2. 7.